0. Android에 삼바 서버를 올릴 것
0-1. 윈도우 탐색기에서 네트워크 검색으로 G1이 검색되는지 확인

1. net view
If this command output RPC error( system error #1728), then other choice will be next.

2. net use ( copied from http://itka.kr/zbxe/10075 )

가끔 매번 사용해야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주소를 넣고 항상 입력하기란 번거롭습니다.
그럴때 아래 내용을 netdrive.cmd 파일로 만들어 시작프로그램에 넣어두시기 바래요
그럼 컴퓨터 시작과 동시에 자동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 합니다.

net use /delete *

@echo off

set USER=[사용자명]

set PASSWD=[비밀번호]

net use [드라이브명] [\\경로명] %PASSWD% /user:%USER%

net use [드라이브명] [\\경로명]

net use [드라이브명] [\\경로명]

위에 한글로 표시한 부분은 각자 구성에 맞게 설정을 변경 하셔야 합니다.

 

) 1

Set USER=me

Set PASSWD=P@SSWARD

net use x: \\192.168.10.2\public %PASSWD% /user:%USER%

예2) net use z: \\Android-G1


삭제할 경우에는 

net use /delete [드라이브명 또는 *]

예1) net use /delete z:






3. net view 사용법


c:\>net view /DOMAIN

Domain


-------------------------------------------------------------------------------

WORKGROUP

명령을 잘 실행했습니다.



E:\>net view /DOMAIN:WORKGROUP

서버 이름            설명


-------------------------------------------------------------------------------

\\ANDROID-G1           AndroidSamba

\\DESK                 desktop

\\LOUIS-PC             notebook

\\UBUNTUSVR            VMWareUbuntu

명령을 잘 실행했습니다.


주의할 점


A. PlugIn: CP850과 CP437을 안드로이드 용으로 컴파일한다.

 서버를 컴파일할때 CODEPAGEDIR 속성을 /system/lib으로 할 것


B. G1폰의 파티션의 남아 있는 용량이 부족할 수 있다.



4. dlopen사용법


보통 plugin으로 동작하는 것들은 동적라이브러리로 만들어지는데 이를 안드로이드에서 이용하고자 하면 지켜야 할 것들이 몇가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1. 일반적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실행 이미지( 실행파일 및 동적라이브러리)의 사용자 권한은 root로 설정된다.

2. 안드로이드에서는 파티션에 따라 root가 관리할 수 있는 디렉토리와 system이 관리하는 디렉토리로 나뉘게 되는데 꼭맞는 디렉토리에 실행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상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동적 라이브러리를 root권한이 아닌 system 디렉토리에 넣고 실행하게 되면 실패하고 root 권한이 설정된 폴더에 있는 경우 정상 동작할 수 있다. 이경우에도 실행이미지의 경우 파일 속성에 실행가능 속성을 꼭 해줘야 하는 점을 잊지 말자

3. 일반적으로 system 관리하의 디렉토리에 파일을 복사하게 되면 실행속성이 제거가 된다.


Posted by kevino
,
  • 경제토론 # 현재 주식시장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 
  • 유화부인onlyj****유화부인님프로필이미지
  • 번호 739077 | 09.07.31 22:04 IP 61.80.***.245
  • 조회 587 주소복사

6월부터 7월, 이 두달간 내가 아는 모든 선옵고수들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고 있습니다. 어떤 차트이론도 먹히지 않고, 기본적 분석도 먹히지 않아 대응방법이 없다는 겁니다. 정말 지금 같은 장에서 수익을 내는 사람들은 거의 초고수급 아니면 운이 정말 좋은 사람들 같습니다.

 

이번주는 더더욱 놀랐습니다. 대부분의 고수들이 이번주에는 변곡이 올것이다라고 내다보는게 현실이었습니다. 대중이 원하면 오지 않는다~ 라고 말하면 할말없지만, 시장을 내다보는 툴의 기술원칙상 대부분의 신호가 그렇게 말을 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보기좋게 매일매일 신고가를 갱신하며 고수들 엿을 먹이더군요.

저또한 미천한 실력이나 선물매도 타이밍으로 들어갔는데, 보기좋게 한방 먹었습니다.

 

무지막지하게 깍인 계좌를 보며, 냉철하게 다시한번 시장을 생각해보기로 했습니다. 사실 나름 차티스트 라고 자부하는데, 영 먹히질 않아 일단 차트를 안보고 기본적 시장분석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1. 외인들의 무지막지한 현물매수

현재 시장의 가장 큰 이슈이고 문제점인데, 그 이유야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큰줄기 2개로 요약해보자면, 약달러 속에서 자산가치 보존 및 이머징마켓 수익률에 기댄 투자자금, 환율하락에 배팅한 자금 등으로 볼수 있습니다. 월가외신 등을 보더라도 이머징 마켓에 배팅하라고 유혹하는 기사가 많습니다. 즉 '시세부양자'들이 열심히 깃발을 흔들며  우리시장에서 수익률게임을 위해 뛰어드는 자금이 일단 많고, 물론 이를 조장하고 있는 '시세부양자' 들은 3월부터 들여왓던 자신들의 자금을 빼내기 위해서, 분위기 뛰우며 끌어들인 자금과 자신들의 자금을 합쳐 최대의 이익을 위해서 원/달러 하락을 위해 현물을 무지막지하게 매수하고 있다고 보아야합니다.(요부분 있어서 시장기술적 상황이 조금 걸려있는데, 밑글에 답니다.)

근데, 보름전부터 왜 그렇게 급하게 매수했을까? 그전에는 근 두달간 횡보를 시키다가? 그리고 왜 그런 현상이 이머징 마켓 전체에서 일어나는 것인가? 이런 질문은 '달러인덱스' 와 '경제상황' 으로 답을 찾아봅니다.

 

2. 달러인덱스(강달러 현상) 와 경제상황 변수

외인들의 정보력으로 볼때 미국채 관련하여 이번주부터 달러인덱스 반등이 나오면서 앞으로 강달러 현상이 나올 것을 내다보았다고 보아야합니다. 3월부터 지속된 약달러 현상은 서서히 바닥을 다지고 있었으며, 미국이 자국의 파산을 막기위해 결국은 강달러를 지향할 것이었는데, 그것이 G8, G2 회담을 거치면서 점점 구체화 될것을 예측한 겁니다. 외신에 울나라와 이머징마켓을 칭찬하는 기사가 나온것이 이때부터입니다. 월가의 '시세부양자(메이져)' 들은 모든 홍보수단을 동원해 해외펀드자금들을 이머징마켓쪽으로 유인했으며, 이때 외인은 투자시 우리나라를 예로들면, 나중에 하락을 하더라도 제값이 나오고, 기관들이 선호하는 대형우량주, 프로그램 바스켓 종목 위주로 담습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종목들이 지수를 움직이기 용이하여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나타내고, 개미들을 유혹하기 좋으며, 나중에 프로그램 매수유발로 떠넘기기 좋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종목순환매를 한다고 시중에서 표현하나, 경기방어주, IT주, 금융주 같은 섹터 구분이 없이 돌림빵하듯이 종목들을 올리는걸 보면, 어떤 가치주 성격이나 미래를 보고 하는 매매는 절대 아닙니다.)

 

현재, 미국은 국채발행과 자국파산을 막기위해 강달러를 위한 모션을 많이 취하고 있습니다. 1년넘게 가만있다가 갑자기 원유투기를 들먹이며 상품선물시장에 대한 규제를 한다고 나서고(최근 기사에 미국 상품선물 시장이 달러반등예상 과 미국정부의 움직임에 약세를 면치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IMF의 금 방출까지 이끌어내고(금가격 제한효과), 예금금리를 올린다는 발언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실 결정적인 강달러를 가져오려면 미 연준의 '출구전략, 금리인상' 카드가 가장 확실한 것이나, 그 카드는 '양날의 칼' 로서 미 연준이 섣불리 선택하기 힘든 면이 있기에, 그전에 앞서 말한 겯가지조치들로 원유를 비롯한 상품선물을 누르고 금을 누르며 강달러 인상을 주며 유도를 하고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최근, 미국이 무차입 공매도 규제를 영구히 한다고 말하고, 오늘자 기사에는 단타매매까지 규제(웃기지 않습니까? 매매형식을 규제한다니?) 한다고 떠드는 것을 보면, 결국에 미국은 출구전략을 선택할수 밖에 없고 주식시장이 박살날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그런데, 미국이 금방 출구전략카드를 쓸수없는 난처한 입장을 아는 '시세부양자' - 외인들은 강달러 현상(달러인덱스 80을 넘어서서 안착하면 강달러로 돌아서는 걸로 봄) 이 금방 나오기 힘들다고 판단하고, 시간이 얼마남지 않은 관계로 G8회담 직후 7/14일부터 오버슈팅으로 급하게 최후까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이머징마켓에 자금을 투입하여 환율차익을 얻기 쉬운 나라는 환율하락에 배팅하고, 시세조작수익을 얻기 쉬운 나라에서는 도리어 환율폭등을 시키며 주식시장을 조절하고 있습니다.(특히 우리나라는 환시장이 작기에 현물매입으로 조절합니다.)

 

3. 최근 시장기술적 상황

며칠전까지 현선물 동반매수를 하며 강하게 장을 이끌던 외인들이 어제 오후부터 선물매도 포지션을 취한 것은 의미심장하다 할수 있습니다. 6월부터 롤오버해온 선물매도분 약 2만개 정도가 아직 있다고 여겨지며, 최근 선물매수분을 청산 또는 신규매도하는 움직임이 보여지는 것입니다. 어찌보면 정석에 가까운 투자라고 할수도 있습니다. 현물매수로 환율하락을 시키고, 고점(1560 근방)으로 끌어올린 상황에서 선물매도를 치는 것,  헷지성인지 차후 하락을 위한 것인지 모를 풋매집을 해온 것, 정말 예술의 극치이며, 꽃놀이패라고 볼수 있습니다. 최근 달러인덱스 반등기미에 엔/달러 하락, 유로/달러 상승이라는 악조건 속에서 우리 원/달러가 너무 선방하며 하락하는 것은 외인 현물매수가 기여한 바가 크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들은 물론 환차익때문이지요. 외인의 선물매도 시작은 두가지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첫째, 슬슬 하방작업의 시작을 알리는, 즉 고점에 다다르고 있으므로 정석대로 선물매도치는거, 둘째, 현재의 장세가 더 이상 오르는 건 슬슬 자제를 시키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기관, 특히 증권이 파생장난질을 시작하면서 외인에게 금액부담(현물매수)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아직 며칠 정도 현물매수를 더 할 상황이 올수도 있는데, 너무 오르면 힘들다는 거지요. 오늘 장이 오른 것은 기관의 힘이 크며, 그것을 제한 한것(장중 1포 조정)이 외인이라고 보여집니다.

 

4. 결  론

이런 기타의 상황을 종합해보면, 외인 또한 자금과 시간이 넉넉한 편은 아니라고 보여지며, 이제 하방작업에 들어가기 시작했다고 보여집니다. 여기서 더 많이 올라보았자 1570 대 초반 정도라고 봅니다. 하방작업을 한다고  금방 내릴까? 며칠 횡보하며 끌수도 있고, 다음주 월요일부터 바로 내려칠수도 있겠지요. 아님 하루이틀 내리다가 다시 올렸다가 그다음 확 내릴수도 있습니다. 암튼 변곡은 다음주나 다다음주초가 될걸로 봅니다. 키포인트가 되는 점은 다음주 FOMC 회의내용과 달러인덱스의 80선 안착여부, 미 다우의 9000 선 붕괴가 나오는 날 정도가 되지 싶습니다. 그때쯤에는 외인의 현물매수가 현저히 줄어들 것입니다. 사실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개미가 받아주지 않은 점도 대만이나 중국, 기타 이머징 마켓이 한두번 조정주고 온거에 비해 조정없이 달려온 것에 일조하였다고 봅니다. 외인들이 프로그램 바스켓 종목만 담은 것은 다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이걸 종목 순환매로 보긴 어렵습니다. 암튼 8월 중하순내 1300 대 바라봅니다.

여기 아고라의 여러 고수들이 내다본 주가하락시나리오가 틀린건 아니라고 봅니다. 단지 외인이 좀더 참을성이 있으며, 좀더 자금력, 정보력이 풍부하다는 차이일 뿐입니다.

 

 


  • 태그 거의맞을거라고봅니다.
  • 신고신고

Posted by kevino
,

Android Tips


 

1.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에서 화면 방향을 바꾸려면
    --> 숫자키9를 Num lock을 해제한 상태에서 누른다

2. Quick launcher에서 설정하고 난후 실행하기위해서는 SYM + 해당 알파벳을 누른다. 예를 들어 Search + a 의 경우 화면 키보드에서 SYM키를 마우스 버튼으로 누른 상태에서 "a"를 누르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3. Android G1에서 root권한 및 cp와 같은 유틸리티 설치 하는 법

Add busybox

  1. download busybox by tapping and holding (long pressing) this file and choosing save link to your sd card (using android browser)
  2. remount system as read-write
    • mount -o remount,rw -t yaffs2 /dev/block/mtdblock3 /system
  3. copy and rename busybox.asc to /system/bin/busybox
    • dd if=/sdcard/download/busybox.asc of=/system/bin/busybox
  4. make it executable
    • chmod 4755 /system/bin/busybox
  5. go there
    • cd /system/bin/
  6. this gives you cp (great for making more symlinks)
    • busybox cp -s busybox cp
  7. start sh (this is busybox sh and has more commands and is easier to use)
    • busybox sh

You will not need to create any more symlinks if you plan on installing any recent JF update as he has done this for you.

P.S. If you have adb running you can paste this in to do all of the previous commands at once (much faster).


1. mount -o remount,rw -t yaffs2 /dev/block/mtdblock3 /system 
2. dd if=/sdcard/download/busybox.asc of=/system/bin/busybox 
3. chmod 4755 /system/bin/busybox 
4. cd /system/bin/ 
5. busybox cp -s busybox cp 
6. busybox sh




Login:

If you've read the previous posts, you should have Busybox running on the phone. That means a proper shell (Ash), and plenty of Unix utilities to play with. Good.
But that's still not quite what we are looking for. We'd like to be able to store our aliases in a 
.profile startup file. We'd like to add our own stuff to the startup process. We'd like to feel at $HOME on our Android.

So we're going to do just that ! But as we've seen already, Android is not built to do that out of the box : no/etc/passwd, no $HOME, and a strange startup script. Let's have a look.

Passwd and Group

First thing : we should add a passwd and a group file in /etc. The problem, as you might have noticed, is that etc is not in your ramdisk directory. It is not in ramdisk.img, but rather in system.img. Actually, /etc is just a symlink to /system/etc(talk about crazy file system hierarchy !). Since modifying system.img is a bit more difficult than building a cpio archive, we too are going to play the symlink game.

Let's put our files somewhere (I've chosen /usr/share), and symlink to them from /etc.

cd my_ramdisk_dir mkdir -p usr/share cd usr/share echo root::0:0:root:/home:/bin/ash > passwd echo root::0: > group cd ../.. find usr >> ramdisk_list

Modifying the Startup Script

In order to make all our symlinks, we have to modify the startup script. This script is called init.rc, and is part of the ramdisk. Let's edit this init.rc file. The % … % comments are mine, and I'll show you the context of my edits, so you can patch :

% Let's add a tmp and home directory. Home should be in a "permanent" storage place, in /data. /tmp should not. % # Backward compatibility symlink /system/etc /etc symlink /data/local /home symlink /cache /tmp % Modify these mount commands to have everything in rw, not ro % mount rootfs rootfs / rw remount mount yaffs2 mtd@system /system rw remount % Add this before the "on boot" block. This creates the symlinks % # add special persistent config files symlink /usr/share/passwd /system/etc/passwd symlink /usr/share/group /system/etc/group

An finally, let's create our own rc startup script, to be run at the end of all other scripts. At the end of the init.rc file, add this line :

service rc /bin/rc

Profiler

Android startup shell comes with some global variables that should be carried over to our shell. We should also configure$PATH. So we are going to create a profile file in /etc. In your ramdisk dir, in usr/share, create a file named profile with this content :

export ANDROID_ROOT=/system export LD_LIBRARY_PATH=/system/lib export PATH=/bin:/sbin:/system/sbin:/system/bin:/system/xbin export BOOTCLASSPATH=/system/framework/core.jar:/system/framework/ext.jar:/system/framework/framework.jar:/system/framework/android.policy.jar:/system/framework/services.jar export ANDROID_BOOTLOGO=1 export ANDROID_ASSETS=/system/app export EXTERNAL_STORAGE=/sdcard export ANDROID_DATA=/data export ANDROID_PROPERTY_WORKSPACE=9,32768

Only PATH is important here. All the other variables were already set up in the Android shell (you can check by typing setafter connecting with adb shell). I've found that the network does not work if ANDROID_PROPERTY_WORKSPACE is not set up properly. Check that the number I give is the same as the one you have.
Then add a line in 
init.rc to create the symlink. And add usr/share/profile to ramdisk_list.

You will also be able to create your own .profile file in your $HOME directory on Android. You can strore your aliases and variables there, since /home has been symlinked to a /data subdirectory, and is persistent across reboots.

Testing

You can now rebuild the mydisk.img ramdisk, using cpio. Then start the emulator with this ramdisk. Log in with adb shell. If everything went fine, you should be able to login using /bin/login. The username is root, no password (you can change your /etc/passwd file if you want one).

Voila ! a real login shell, with properly set up variables and a $HOME to live in.





The Six Million Dollar LibC

AndroidToday, Gentle Reader, we will examine the Bionic library, a slim libc developed by Google for use in the Android mobile software platform. Bionic is clearly tailored for supporting the Android system, but it is interesting to see what might be done with it in other embedded system contexts.

Google's stated goals for Bionic include:

  1. BSD license: Android uses a Linux kernel, but they wanted to keep the GPL and LGPL out of user space.
  2. Small size: glibc is very large, and though uClibC is considerably smaller it is encumbered by the LGPL.
  3. Speed: designed for CPUs at relatively low clock frequencies, Bionic needs to be fast. In practice this seems to drive the decisions of what to leave out, rather than any special Google pixie dust to make code go fast.

In this article we'll delve into the Bionic libc via source inspection, retrieved from the git repository in October 2008. The library is written to support ARM CPUs, though some x86 support is also present. There is no support for other CPU architectures, which makes it a bit inconvenient as all of my current systems are PowerPC or MIPS. Nonetheless I'll concede that for the mobile phone market which Bionic targets, ARM is the only architecture which matters.

As one might expect for a BSD-licensed libc, a significant amount of code is sourced from OpenBSDNetBSD, and FreeBSD. Additional BSD-licensed bits come from Sun and public domain code like the time zone package. There is also a significant amount of new code written by Google, particularly in the pthread implementation.


 
C++ support

So what is different about the Bionic libc versus glibc? The most striking differences are in the C++ support, as detailed in the CAVEATS file:

  • The Bionic libc routines do not handle C++ exceptions. They neither throw exceptions themselves, nor will they pass exceptions from a called function back through to their caller. So for example, if the cmp() routine passed to qsort() throws an exception the caller of qsort() will not see it.
     
    Support for C++ exceptions adds significant overhead to function calls, even just to pass thrown exceptions back to the caller. As Android's primary programming language is Java, which handles exceptions entirely within the runtime package, the designers chose to omit the lower level exception support. C++ code can still use exceptions internally, so long as they do not cross a libc routine. In practice, it would be difficult to actually guarantee that exceptions never try to transit a library routine.
  • There is no C++ Standard Template Library included. Developers are free supply their own, such as the free SGI implementation.

Lack of exceptions is obviously a big deal for C++ programmers, but nonetheless we'll push on.


 
libpthread

The pthread implementation appears to be completely new and developed by Google specifically for Android. It is, quite deliberately, not a complete implementation of POSIX pthreads. It implements those features necessary to support threads in the Dalvik JVM, and only selectively thereafter.

In other embedded Linux environments, the pthread library is crucial. There are a large number of developers in this space from a vxWorks background, to whom threads are simply the way software should be written. So we'll spend a bit more time delving into libpthread.

  • Mutexes, rwlocks, condvars, etc are all implemented using kernel futexes, which makes the user space implementation impressively simple. It seems a little too simple actually, I intend to spend a bit more time studying the implementation and Ulrich Drepper's futex whitepaper.
  • There is no pthread_cancel(). Threads can exit, but can not be killed by another thread.
  • There is no pthread_atfork(). This routine is useful if you're going to fork from a threaded process, allowing cleanups of resources which should not be held in the child. I've mostly seen pthread_atfork() used to deal with mutex locking issues, and need to study how the use of futexes affects fork().
  • Thread local storage is implemented, with up to 64 keys handled. Android reserves several of these for its own use: the per-thread id and errno, as well as two variables related to OpenGL whose function I do not understand. Interestingly the ARM implementation places the TLS map at the magic address 0xffff0ff0 in all processes. This technique is presumably part of the Google performance enhancing pixie dust.
  • POSIX realtime thread extensions like pthread_attr_{set,get}inheritsched and pthread_attr_{set,get}scope are not implemented. Frankly I've never worked on a system which did implement these APIs and am completely unfamiliar with them, so I don't find their omission surprising.

I haven't drawn a final conclusion of the Bionic pthread implementation yet. It is pleasingly simple, but lack of pthread_atfork() is troublesome and use of a magic address for the TLS map may make porting to other architectures more difficult. I need to get this puppy running on a PowerPC system and see how well it works.


 
Miscellaneous notes

In the course of digging through the library I generated a number of other notes, which don't really clump into categories. So I'm simply going to dump it all upon the Gentle Reader, in hopes that some of it is useful.

  • The README says there is no libm, though the source for libm is present with a large number of math routines. I need to investigate further whether it really works, or whether the README is out of date.
  • There is no wchar_t and no LOCALE support. I think this is fine: wchar_t is an idea whose time has come... and gone. The world has moved on to Unicode with its various fixed and variable width encodings, which the wide character type is not particularly useful for. 
    I've used ICU in recent projects for internationalization support, and this is also what Google suggests in the README for Bionic.
  • There is a shared memory region of configuration properties. For example, DNS settings are stored in shared memory and not /etc/resolv.conf. The Android API also makes this shared memory configuration store available to applications via property_get() and property_set().
  • As one might expect, the stdio/stdlib/string/unistd implementation comes from OpenBSDNetBSD, and FreeBSD with minimal changes. The only change I noticed was to remove the LOCALE support from strtod() (i.e., is the decimal point a period or a comma? In the Bionic library it is always a period).
  • There is no openlog() or syslog() implementation. There is a __libc_android_log_print() routine, to support Android's own logging mechanism.
  • Bionic uses Doug Lea's malloc, dlmalloc. Bionic also provides a hash table to track allocations looking for leaks, in malloc_leak.c.
  • There is no pty support that I can find, and no openpty(). There are reports of people starting an SSH daemon on a jailbroken Android device, so presumably there is some pseudo-terminal implementation which I've missed.
  • There are no asynchronous AIO routines like aio_read() or aio_write().
  • Bionic contains an MD5 and SHA1 implementation, but no crypt(). Android uses OpenSSL for any cryptographic needs.
  • Android dispenses with most file-based Unix administration. Bionic does not implement getfsent, because there is no /etc/fstab. Somewhat incongruously there is a /var/run/utmp, and so getutent() is implemented.
  • Android implements its own account management, and does not use /etc/passwd. There is no getpwent(), and getpwnam()/getpwuid() are implemented as wrappers around an Android ID service. At present, the Android ID service consists of 25 hard-coded accounts in <android_filesystem_config.h>
  • Bionic isn't finished. getprotobyname(), for example, will simply print "FIX ME! implement getprotobyname() __FILE__:__LINE__"
  • There is no termios support (good riddance).

 
Conclusion

Bionic is certainly interesting, and pleasingly small. It also represents a philosophical outlook of keeping the GPL some distance away from the application code.

Bionic is a BSD-based libc with support for Linux system calls and interfaces. If the lack of C++ exceptions or other limitations prove untenable, the syscall and pthread mutex implementation could be repurposed into the heavier FreeBSD/NetBSD/OpenBSD libc, though handling thread cancellation using the Bionic mutexes could require additional work.


 
Postscript

If you don't understand the reference in the title of this article, don't fret: you have simply not watched enough bad 1970's American television.

Update: In the comments, Ahmed Darwish points out another Android-related article discussing the kernel and power management interfaces Google added.

Update2: Embedded Alley is working on a MIPS port of the Android software.

Update3: In the comments Shuhrat Dehkanov points out an interview with David Turner, who works at Google on the Bionic implementation. Shuhrat also notes that you might have to log in to Google Groups to see the attachment. "Here is an overview by David Turner (though non-official) which answers some of the questions/unclear parts in your article."



Posted by kevino
,

  • 번호 736507 | 09.07.29 00:00 IP 210.221.***.63
  • 조회 204 주소복사

지난글에서  주식투자를 할려면  먼저 깨지고   박날나야 한다고 했습니다..
먼저는  시장에 휘둘리고  한참을 농락당해야 합니다.. 
농락 당하는 모습은 아마 이런 모습 일 것입니다.

퇴근 시간에 경제신문에서  LG전자 추천 기사를 보게 됩니다.
집에와서  LG 전자  차트를 보니 역시나  쭉쭉 올라가고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다음날 LG전자 주식을 삽니다..
그런데 내가 사고 나면  주가가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옆동네   삼성중공업을 보니 슬슬 오르기 시작하고 괜실히  좋아 보입니다..
다음날  눈물을 머금고  LG 전자를 팔고 삼성중공업으로 갈아 탑니다..
그랬더니 이번에는  삼성중공업이 떨어지기 시작하고   LG전자가 다시 치고 올라 갑니다..
머리에 스틈이 돌기 시작합니다..
청개구리도 이런 청개구리가 없습니다..
하루 종일 차트를 쳐다 봅니다...
책에서 봤던대로  골드크로스가 보이는 종목을 골라 봅니다.
박스권을 강하게 돌파한 종목도 봅니다.
외국인이나 기관이  꾸준히 매집하는 종목도 눈여겨 봅니다..
스토케스틱이 쌍바닥인 종목도 봅니다..
어쩌다  완벽한  조건을 갖춘 종목이 눈이 확 뜨입니다..
주가도 그리 비싸지 않으면서  잘만 하면 몇배는 먹을 것 같습니다..
기본적 분석도 어느 정도 공부해서  재무재표 정도는 볼줄 압니다..
매년 수익을 내고 있는 우량회사임을 확인 합니다..
마침 그 회사를 짝사랑하게 됩니다..
조심스럽게 그 회사 주식을 일부 편입합니다.
역시나...   오르기 시작합니다..   며칠도 안되서  50%의 수익이 납니다.
자신의 능력에 감탄하기도 합니다.
그 회사가 뉴스에 나오기라도 하면 마치  자기 자식이 메스컴을 탄것 처럼 흐뭇하기까지 합니다..
역시 주식은 공부하면 돼....   주식해서 잃었다고 하는 애들..
전부  공부 안 한 놈들이라고  중얼 거리며 어깨에 힘이 들어갑니다..
서서히  확신이 서서 그 회사  주식을 살 수 있을 만큼 왕창 삽니다..
그런데 이게 왠일입니까..    며칠후  폭락 하기 시작합니다...
어~~ 어~~ 그럴리가 없는데 하며서   물타기 몇번 합니다...
어느덧  수익 났던것 모두 토해내고   시퍼런 마이너스 수익율을 보면  스스로 믿지를 못합니다...
며칠 동안 쉬며 마음을 추스린 후  또 뛰어 듭니다..
그리고  이런 짓을  계속  반복합니다...

자... 여기서 문제가 무엇일까요...

먼저 명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우리는 개미입니다..
직장에 다니든 자영업을 하든 하루종일 모니터에 코박고 살면서 하루종일 1년  365일 차트 쳐다볼 수 있는
처지가 못되는 개미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상대는  정보력, 자본력에서 우리와 비교도 되지 않는 막강 파워를 가지고 있는  외국인 ,기관 입니다..
이런 애들을 상대로 그들이 사용하는 무기를 똑같이  사용해서는  백전백패 입니다..

개미들이 사용해야할 무기..
그것은  시장 평균에 배팅하는 것입니다.

어느 종목을 고를까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개별 종목을 고르게 되면   그 회사에 내가  매몰되어 버립니다..
짝사랑 하게 되고 착각에 빠지게 되고  큰 흐름이 안보입니다..

시장이 무너지고 있는데도 내가 선택 회사는 우량한 회사기 때문에 홀로 상승 할 수 있을 것이라 망상을 하게 됩니다.
물론  그런 주식도 있긴 합니다..
그런데 그런 주식은 개미들은 못 고릅니다..
고른다고 해도 그건  복권 고르는 것과 비슷 합니다.
또 한두번은 제대로 고른다 해도   그 후로 반드시 큰코 다치게 됩니다..
초대형 우량주를 고르라는 사람도 있고 주도주를  고르라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물론 맞습니다...  
자동차, 금융, 건설, 조선 , 전자.....    시장의 특성에 따랑 주도주는 매번 바뀝니다..
주도자는  시장 평균보다 더 높이  날라 갑니다..  
그러나  부질없는 짓입니다... 
표현이 거칠어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만큼 저는 절박한 심정으로  말씀 드리는 겁니다.
이종목 저종목 고르나라 맘고생 하지 말고 그냥 속 편히  시장평균에 배팅하시길 추천합니다.
지난 글에서  실망할 준비를 하라고 말씀드렸는데 
시장평균에 배팅하라는 이 말씀이 제가 드리고자하는 방법론의 50% 입니다..

개미들은  시장의 큰 흐름을 파악하기도 버겁습니다..
그런데  산업까지 파악하고  특정 회사의 정보까지 파악하기는 불가능 합니다.
개미들의  눈과 귀에 포착되는 정보는 이미  유통기간이 한참 지난  미지근한 정보이거나  개미들에게 물량 넘기기 위한 미끼입니다...
우리의 적은 여론을  이리저리 흔들수도 있고  매스컴을  수단으로까지 사용 할 수 있는 세력들입니다..
그들이 유일하게 이기지 못하는 것으로 승부 걸어야 합니다..
그것은 시장입니다..
그래서 시장 평균에 배팅하고   시장의 큰 흐름을 파악하는 것에 시간과 정열을  집중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시장평균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가 남습니다..
펀드를 생각 하시는 분이 많을텐데
저는 펀드를 하지 말기를 권합니다..
펀드매니져 연봉이 장난 아닌 것을 다들 알 것입니다.
그리고 펀드는 판매사 운영사 수수료가 각각 나갑니다.
그리고 수탁사에도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이런 모든 비용을 여러분이 내는 펀드자금으로 충당합니다.
그래서 왠만한 펀드는 총 수수료가  2.5% 정도 됩니다..
큰손들은 금리 1%에 목숨걸고,   금리 + 알파   몇 % 먹기 게임을 하는데  2.5%는 엄청난 것입니다.
그리고 펀드매니져 얘들이 그만한 일을 하느냐...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펀드메내져  개개인의 능력이 아무리 뛰어나도  회사 규칙에 따라 통제를 받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시장이 않좋아도  고객이 펀드에 돈을 넣으면 주식을 사야하고, 시장이 더 좋아 질것 같아도 환매를 요청하면 어쩔 수 없이 팔아야 합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펀드매니져들의 실적도 거의 시장평균에 수렴하게 됩니다..
그러니 비싼 수수료 주고 펀드에 가입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적립식 펀드...
이것도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적립식으로 하면   코스트애버리징(평균매입단가) 하락 효과로  이득이라고 하지만 
최근 2년처럼 시장이  올라갔다  내려 올 때는  역코스트애버리징  함정에 빠져서 훨씬 손실이 크게 발생합니다..

인덱스펀드는  시장평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200을  추종하게 설계 되어 있고   펀드메니져가 운영하는게 아니라  컴퓨터에 의해 자동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수수료가 적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대부분 인덱스펀드는   90일 이 경과 안된 투자금의 이익은 대부분 환수해 버리기 때문에  시장에 대응하기에는 유연하지 못합니다.

정답은   ETF(상장지수 펀드) 입니다..
제가 추천하는 개미들의 주식투자방법의 핵심중 하나! 
주식은 시장평균인  ETF만 하라 입니다..

다음글에서  ETF에 대해서 좀더 말씀 드리고  타이밍에 대한 얘기를 이어 가도록 하겠습니다..

마누라가 오늘은 술먹고 왔네요.  팀원끼리 회식을 했다나요...
간만에 마시고 와서  자기가  술이 쎈줄 첨 알았답니다..  참네    눈이 풀려 있는 것도 모르고~
쏘주냄새 팍팍 풍기면서  기웃 기웃 거리더니
구라 고만치고 자래요... 자야죠  --;
여러분  굿나잇~~~~ 
--------------------------------
www.successguide.co.kr


  • 태그 주식투자, 주식
  • 신고신고
Posted by kevino
,
  • 경제토론 리보금리 최저가 나타내는 의미 
  • 아침이슬passion****아침이슬님프로필이미지
  • 번호 735950 | 09.07.28 11:33 IP 211.253.***.49
  • 조회 11 주소복사

 

 

리보금리가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며 지난 리먼 파산 이후의 신용경색이 완화되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만 그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리먼 파산 때의 리보금리의 경색은 리먼이 주도해왔던 스왑시장의 패닉때문에 일시적으로 올라갔던 것이며 정부의 개입을 통해 이러한 시장혼란은 수습되었던 것입니다. 물론 다음 파산자가 누구일지 몰라서 추가적인 포지션을 취하기 어려웠던 부분이 분명히 있긴 있습니다.

 

리보금리는 장기금리가 아닙니다. 길어야 대부분 6개월을 넘지 않는 단기물이며 이것은 단기자금이 얼마나 풍부하게 금융기관내에서 맴돌고 있는지 알려주는 지표일 뿐입니다. ECB는 최근 중앙은행이 공급한 자금이 다시 중앙은행으로 되돌아오는 양이 너무 많다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단기물을 기반으로는 승수효과를 보기 어렵습니다.

본원통화의 천문학적 공급에도 불구하고 신용스프레드도 상승하고 장단기 스프레드도 상승합니다.

 

단기자금시장에서 자금이 맴돌기만 하는 것도 한계가 있습니다.

유동성이 풍부하게 존재하는 곳에만 버블이 쌓이고 있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금화가 용이한 곳을 제외한 부문에서는 유동성이 부족하다는 시그널을 보내고 있습니다.

 

만약 단기자금시장의 금리에 만족하지 못하여 자금이 빠져나오기 시작한다면 어떻게 되는 것입니까?

그 전에 이러한 자금을 흡수할 수 있는 곳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출구전략은 그래서 지금 논의될 필요가 있습니다.

버냉키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언급은 지나치게 안이하다고 밖에 볼 수 없습니다.

FRB가 장기채 매도를 시작하면 도대체 장기채권 영역의 시장에서는 누가 매수자로 나선다는 겁니까?

 

리보금리 최저기록은 단기물 유동성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증거일 뿐입니다.

유동성을 이대로 더 공급하게 된다면 그 유동성은 갈 곳이 없습니다.

갈 곳을 마련하던가 유동성을 흡수하던가 둘 중 하나를 해야 하는데

지금 유동성이 갈 곳은 담보로 잡을만한 것이 있는 부문 밖에는 없습니다.

즉 미래가치를 담보로 대출을 할 수 있을만큼의 금리를 제공하지를 않고 있다는 뜻입니다.

오로지 믿을 수 있는 것은 현재의 자산가치뿐이라는 것입니다.

주택담보대출만 줄기차게 늘어나는 것이 바로 그런 이유인 것입니다.

 

 

===============================================================================

우리나라 입장에서 외자 유치가 항상 좋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자본 수지가 흑자가 되게 되면 경상수지부문의 흑자가 줄어들게 됩니다.

번만큼 소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산을 팔아서 소비를 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자본수지 흑자와 경상수지 적자는 보통 이머징 마켓의 금융공황을 불러오는 것들입니다.

외자유치에 목맬 필요가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가 경상수지 부문의 문제가 있는 것입니까?

이 정부가 주력해야 할 것은 외자유치 같은 것들이 아니지 않습니까?


Posted by kevin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