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모르는 부분은 3일 단위로 관리하세요
2개월~1년 정도의 다양한 팀 프로젝트에서 검증된 지속가능한 개발 프로세스입니다.
1. 계획 단계
A. 작업을 분할합니다.
통상 5일(1주일), 잘 모르면 3일 단위로 분할합니다.
어떤 작업의 기간이 너무 길면 더 세분하고, 너무 짧으면 유사기능과 합쳐야 합니다.
어쨌든 작업을 1차로 분할합니다.
모든 작업은 결과물 확인이 가능해야 합니다.
B. 팀원이 예상 일정을 제시합니다.
각 작업에 대한 팀원이 예상일정을 채워 넣습니다.
이 때, 해당 작업을 전에 해본적이 있는지 경험의 유/무를 기록합니다.
또한 해당 작업이 쉬운지 어려운지 난이도의 상/하를 기록합니다.
즉, ''제시일정-숙련도-난이도''를 팀원이 채워 넣습니다.
이 때, 우리나라에서는 상-중-하 등으로 하면 안됩니다. 왠만하면 중으로 쏠려요.
C. 팀장과 팀원이 계획을 수립합니다.
팀장이 팀원의 계획표를 보고 함께 토의합니다.
이견이 없게 분할됐으면 공식 들어갑니다.
숙련도 난이도 안전율(초기값) 상 하 2 상 상 3 하 하 4 하 상 5
예, 팀원이 제시한 일정에 안전율을 곱한 것이 계약을 위해 외부에 제시되는 완료 예상 일정입니다.
정해진 기간을 초과할 것 같으면 기능을 줄이거나 팀원을 늘이기 위해 협상하는 것이 팀장의 역할입니다.
2. 개발 단계
A. 일정별 작업 들어갑니다.
팀원이 작업을 하는 동안 시간단위, 일단위, 주단위, 결과물 단위 등등 팀장이 알아서 편하게 관리합니다.
어쨌든 결과물이 나오는 실제 수행 일정을 기록합니다.
B. 안전율 보정합니다.
팀원의 수행 일정에 맞도록 계획표 상에서 제시한 일정에 적용한 숙련도-난이도 공식의 안전율을 조정합니다.
3. 팀장의 역할
A. 팀장은 작업을 분할하는 통찰력을 키우고, 팀원이 난이도 및 숙련도를 잘 평가하도록 유도합니다.
시스템의 설계나 개발 계획이 관리 및 확인에 적합하고 팀에 맞게 분할되도록 고민 해야합니다.
또한 팀원의 안전율이 고르게 분포하는지 기록을 확인하면서 함께 고민합니다.
B. 전체 프로젝트 기간에 대해 팀원별 또는 팀별 안전율, 즉 계획 대비 실행이 평균적으로 2 이하가 되도록 관리합니다.
적절한 작업 분할, 기술 교육, 업무 환경 개선, 상벌 등을 적절히 활용합니다.
C. 3개 이상의 프로젝트에서 계획 대비 실행의 안전율이 1.7 미만이 되면,
쓸데 없이 더 이상 줄이려고 노력하지 말고
TOC학회등 관련 학회에 우수사례로 보고하면서 회사에 인센티브를 요청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1.6 밑으로는 드물다고 하고, 경험에 의하면 2정도가 상급이고 1.7 정도면 전설로 남습니다.
이상입니다.
===========================================================================
Shocky Han
BIM Consultant, Certified Information Systems Auditor
Seoul, Kore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