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토론 공황과 디플레 vs 공황과 하이퍼인플레 
  • 아가의창 아가의창님프로필이미지
  • 번호 630188 | 2009.04.26 IP 99.35.***.193
  • 조회 431 주소복사

4월 7일 마틴 와이스박사가 (Dr. Martin D. Weiss) 데이빗 굳나우(David Goodnow)라는 전 CNN앵커와 한 대담에서 한 말입니다. 올 초에 미국의 실업률이 10%이상이 될거라고 했었고 시티은행과 와코바아와 메릴린치의 몰락을 예고했었읍니다. 이 중 2개는 무너졌읍니다. 시티도 지금 말이 많지요. 미국 실업률은 벌써 8.5%인 걸로 알고 있구요. 캘리포니아는 더 높아요.

 

그가 말하길, 미국에게 2가지 선택이 있는데

1. 디플레와 함께가는 공황(Depression with Deflation)

아니면

2. 하이퍼인플레와 함께 가는 공황(Depression with Hyperinflation)

 

1일경우는 힘들지만 점점 나아질 것이고 또 디플레기 땜에 좋은 점에 대해서도 말하더군요.

여기 경방에서 여러 고수님들이 피력한 말들과 너무나 같습니다.

물건 값이 떨어지기 땜에 같은 돈으로 더 많은 것을 살수 있고 임금도 낮아지기 땜에 경쟁력도 생길거고.. 대공황처럼 25%가 실업자가 되더라도 이길이 좀 더 빨리 공황에서 벗어나서 경제가 회복될 수 있는 길이라고...

 

2일경우, 미국의 앞날은 깜깜하고 회복이 어렵구요. 돈이 종이가 되면 정말 어떻게도 할수 없게 되어 버린다고. 지난 18개월간의 미국이 한 일이 계속된다면 말이지요. 그러면서 일차대전 직후의 독일의 모습이 사진으로 나옵니다.

 

지금 미국은 이 둘중에 하나를 택해야할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고...

지금처럼 은행과 진탕 놀며 돈놀이한 금융가를 구제금융 하려 들다가는 실패할수 밖에 없다고.

다음세대에 더 나아진 미국을 물려주려면 올바른 선택이 필요하고 그걸 위해 이 캠페인을 시작한다는군요...

 

그러면서 앞으로의 혼란의 시대를 대비해 나와 나의 가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언을 하고 있읍니다. 이것도 물론 이곳 경방 고수들이 누누이 조언해 온 말들과 너무나 같습니다!!!

허접한 번역실력이니까 이해하시고 혹시 잘못된 것 있으면 알려주세요.

 

제목: Your Own Bailout (자기 자신의 금융구제)

( 6 urgent steps to save your home, income, investments, savings and retirement)

당신의 집, 소득, 투자, 예금과 연금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6가지의 급히 필요한 방법들

 

1. Erase your debt & secure your income(빚을 없애고 직장에 붙어 있을때까지 붙어있어라)

    전에 상승미소님과 이야기 할때도 제일 첫번째로 꼽은것중의 하나가 바로 이것입니다.

 

2. Real Estate (부동산)

     "Keep your home if you want to.... or get a decent price for it if you don't want to..."

    집을 보유하고 싶으면 그렇게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적당한 가격을 받고 팔아라. 대담도중 투자 부동산일경우 팔 것을 강력한게 조언하더군요. 곧 상업용 부동산 융자의 문제가 불거질거니까. 지금 집융자로 이자와 원금을 내는 대신 부동산 가격은 계속 떨어질 테니 그돈이면 나중에 좋은 챤스가 많이 생길거라고요...

 

3. Protect your savings in banks. (은행에 있는 당신의 예금을 보호해라)

    은행이 어떻게 될지 모른다. 상대적으로 안전한 은행에 10만불 미만으로 예금자 보호되는 예금으로 예금을 보호해라.. 이번에 새로 작성된 위험한 은행리스트 (D or below rate) 1800개에 시티은행, 웰즈파고, 골드만삭스, JP모건체이스라는 큰 은행들 이름이 들어가 있더군요. 미국에 있는 우리나라은행중 한*은행도 그 리스트에 들어가 있었읍니다. 얼마나 상태가 나쁜지 아시겠지요? 이것도 또한 우린 경방고수들에게 누누히 들어 알고 있는 방법입니다. 한국은 5천만원이지요?

 *****미국의 1800개 위험은행 리스트:

 

 http://www.moneyandmarkets.com/jpmorgan-chase-goldman-sachs-citibank-wells-fargo-and-more-than-1800-other-institutions-believed-to-be-at-risk-of-failure-33058

 

 

Major U.S. Banks Overexposed to Default Risk

 

**FED 데이타래요. 미국 대형은행들의 자산 대비 위험 노출도 (클수록 쓰러질 위험 높음)

 

4. Sell into this rally like you've never sold before.

    주식랠리가 오면 기회다 생각하고 다 팔아라...

     예로 30년대 대 공황때 꼭지점대비 90% 떨어진 것을 들며 앞으로 이렇게 반등이 여러번 올테니 그때 놓치지 말고 팔아라.. 너무나 많이 듣던 말들이지요? 여기 경방에서.. 지금 어디에도 경제가 나아지고 있다는 사인은 없다. 지금은 반짝 랠리일 뿐이고 전세계가 공황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낙관은 금물!

 

5. For the investments you cannot sell, offset them with investments that protect your porfolio. (팔수 없는 투자같은 경우는 포트폴리오를 잘 짜서 메꿔라)

미국엔 401K같은 연금투자가 많습니다. 이런것은 은퇴전에 팔게 되면 세금 왕창 물거든요. 이런건 또 안전한 국채투자나 정부채권쪽으로 돌려 놓으면 더 안전하단 이야깁니다. 올해초 이분말듣고 제건 다우가 8천과 9천 사이일때 분할해서 옮겨 놓아 그나마 손실을 줄였읍니다...  또 다른 옵션은 ETF를 이용하는 건데, 전 어떻게 하는건지 아직 잘 모르므로 통과. 이건 앞으로 좀 파고 들어봐야 겠읍니다.

 

6.Use this as an opportunity to actually build your wealth. (Those same inverse ETFs that you used for protection can also be used for profits.--이것도 잘 모르니까 통과. 아무튼  inverse ETF를 이용하면 레버레지가 많이 생길수 있는 모양인데 주식투자에 대해서 자신있는 분들에게만 추천합나다.... 지금은 지키기만도 벅찬것 같으니까요...

 

자,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지금은 절대로 불황의 바닥이 아닙니다. 그리고 갈 길은 아주 멀어 보이고요.이젠 '불황'이란 단어는 공식적으로 요즘의 경제 상황을 가리키고 있읍니다. 모두 이 어려운 시기를 슬기롭게 넘기기를 바랍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길 원하시면 아래 링크를 가셔서 이멜주소만 입력하면 비디오 감상하실수 있읍니다.

http://weiss.streamlogics.com/April7-09/


  • 태그 공황과디플레
  • 신고신고


Posted by kevin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