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토론 통화량과 그에 따른 통화,유동성 지표에 대해서 알아보기. 
  • 비교대상 비교대상님프로필이미지
  • 번호 648507 | 2009.05.14 IP 114.206.***.73
  • 조회 226 주소복사

통화량지표에 대해서 오해가 있으신 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간략한 개념과 통계를 한 번 살펴보고볼때 주의점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더 붙여주시거나 수정할 것이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의 의견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개인적으로 악플도 환영합니다.

 

통화통계 : 통화량 및 유동성의 크기나 변동을 측정하는 통계로서 통화(M1), 총통화(M2) 등 통화지표와 금융기관유동성(Lf), 광의의유동성 등 유동성 지표가 있음.

 

통화지표

- M1=현금통화 + 요구불예금 +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M2= M1 + 정기예적금 및 부금* + 시장형상품 +실적배당형 상품* + 금융채* + 기타(투신증권저축, 종금사발행어음)   * 만기 2년이상 제외

 

유동성지표

-Lf= M2 + 만기 2년이상 정기예적금 및 금융채 + 증권금융 예수금 + 생명보험회사(우체국보험 포함) 보험계약준비금 + 농협 국민생명공제 예수금 등

 

-L=Lf + 정부 및 기업 등이 발행한 유동성 금융상품(증권회사RP, 여신전문기관의 채권, 예금보험공사채, 자산관리공사채, 자산유동화전문회사의 자산유동화증권, 국채, 지방채, 기업어음, 회사채 등)

 

조사대상 :

M1 및 M2 : 중앙은행 및 예금취급기관

Lf : 예금취급기관 외에 한국증권금융 및 생명보험회사 등
L : Lf 기관에 정부 및 기업까지 포괄

자 그렇다면 통계를 보도록 하지요.

 

자 위의 그래프는 전년동월비로 비교한 그래프 입니다. 일반적으로 통화량을 분석할때 전년동월비를 사용하게 됩니다. 전년동월대비는 말 그대로 전년도 5월과 올해 5월을 비교해서 나오는 증감률을 가지고 분석하는 것이지요. 자 96년과 98년을 보면 은행에서 본원통화량을 증가시켜도 은행에서 조차 약빨이 먹히지 않는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96년까지 왜 저렇게 본원통화량을 줄였는지 이유를 모르겠군요. 여튼 당시와 지금을 비교해보면 지금은 본원통화의 공급이 은행까지는 약빨이 잘 먹히고 있지만 그 후부터는 영 시원치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것이 유동성800조가 금융권에서 대기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http://www.edaily.co.kr/News/Economy/NewsRead.asp?sub_cd=HB21&newsid=02154966589688264&clkcode=00203&DirCode=00302&OutLnkChk 기사참고하세요. 이러한 기사가 나오는 배경입니다.

 

주의점 : 통계의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을 이용하여 경제현상을 분석하는 경우 비연속적인 비교로 인해 경기국면의 전환시점에서 통계에대한 착시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큼.

 

참고 :통계의 계절변동조정계열(seasonally adjusted series)이란 원계열의 통계수치에서 1년의 주기를 갖는 계절변동요인(S)을 제거시킨 통계계열로서 분기별 또는 월별 통계의 전기대비 분석을 목적으로 작성함.

위는 절대액입니다. 별 의미가 없어 보이는 그래프지요. 의미를 부여하려면 많은 작업을 해야 가능할 듯 합니다.

본원통화의 절대액 증감이 잘 보이지 않아서 본원통화만 따로 올립니다.

 

혹시나 관심있으신분은 종합주가지수와도 비교해보세요.

 

*이는 비전문가의 이야기로 통계를 볼때 참고하여야 할 것을 이야기 했으며, 신문기사의 배경은 이러이러하다라고 이야기 하는 겁니다.

 

*위의 글은 한국은행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그래프는 한국은행 통계시스템을 이용하여 본인이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더 참고할 것이 필요한 분은 http://ecos.bok.or.kr/EIndex.jsp 들어가시면 pdf화일이나 e-book을 통하여 참고하시면 됩니다. 또는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에 직접들어가셔서 퀵메뉴만 누르다 보시면 참고할 자료들이 많이 나옵니다.

 


  • 태그 통화지표., 통화지표, 유동성지표
  • 신고신고


Posted by kevin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