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토론 우라늄(Uranium) 투자에 대한 의견과 방법 (1탄) 
  • 몽키머니 몽키머니님프로필이미지
  • 번호 629381 | 2009.04.25 IP 222.106.***.36
  • 조회 146 주소복사
[몽키머니曰]
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에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회사업무때문에 정말 정신이 없었네요.)
간만에 시간을 내서 우라늄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우라늄에 대해서는 알아야 할 것, 알면 좋은 것들이 정말 많은데, 한 포스트에 많이 적으면 너무 길어져서 나눠 올리는 것이 좋겠단 생각에 짧게짧게 간단히 올립니다.^^)

우라늄 하면 어떤 생각이 먼저 드시나요?

* 방사능? 체르노빌사고?          




* 원자폭탄? 




* 그런 것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사실 그렇게 좋은 이미지는 아닐겁니다. 원자력에 대한 무서움에 대해서는 너무나 교육을 잘 받았기 때문이죠.

! 그런데 왜 갑자기 우라늄이냐?
 
다 아시겠지만, 이게 상품(원자재)시장은 물론, 에너지, 그린Green정책과도 맞물린 굉장히 중요한 상품이라, 한번 정리가 필요할 것 같아서 정했습니다.

앞으로 우라늄에 대해 다룰 내용은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① 우라늄이 뭔지.
② 우라늄이 (요즘) 관심받는 이유
③ 우라늄 가격추이

④ 우라늄의 (이용) 현황,
⑤ 중요한 수요 / 공급 요인과 그 모멘텀은 무엇인지.
⑥ 다른 상품과의 비교
⑦ 우라늄에 대한 투자방법 (Investing Vehicle) 은 무엇인지
등등으로 정리하려고 합니다. (순서나 내용은 좀 바뀔수있습니다. 대략 저런 흐름이라는거죠)

※ 아! 여기선 ⓐ우라늄,원자력자체가이 좋은건지 나쁜건지(=원자력오염, 방사능 등의 이슈), ⓑ플루토늄, 핵무기 이슈에 대해서는 가급적 스킵하죠. 어디까지나 투자자의 시각에서 보자는 거니까요.

이 정도면 우라늄이 뭔지, 어떤 걸 주시해야하는지, 다른 것들과 어떻게 연관지어 생각하면 좋을지 대략의 감은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일단 이번 포스트에서는 ① 우라늄이 뭔지, ② 우라늄이 (요즘) 관심받는 이유,③ 우라늄 가격추이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우라늄이 뭐죠?

=> 그렇게 궁금하진 않죠? 그래도 대략 이런거다라고 알아두면 좋을듯합니다.

● 우라늄은 크게 우라늄235 , 우라늄238로 구분할 수 있음. 우라늄은 세계전역, 바다속에 많이 퍼져있지만 대부분(99.28%)는 우라늄238임. 남아있는 0.7%가 바로 우라늄235이며, 이것이 바로 원자로, 핵무기 등에서 사용됨.  천연우라늄은 우라늄235의 비율이 아주 낮기 때문에 우라늄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빠른 속도로 돌려서 우라늄 235의 비율이 높은 농축우라늄을 만듦. (중요한 우라늄 광물로는 역청우라늄광·우라니나이트·카노타이트·오터나이트·토버나이트 등이 있음.)

우라늄235 : 원자로나 핵무기에 쓰이는 우라늄의 방사성 동위원소.

우라늄238 : 자연계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우라늄의 동위원소

● 명칭은 1789년 마르틴 하인리히 클라프로트가 발견했을 당시 새로 발견한 행성인 천왕성(Uranus)의 이름을 딴 것임. 235, 238은 동위원소의 질량수를 나타내는데, 질량수는 원자핵에 들어 있는 중성자 수와 양성자 수의 합임.

※ 핵분열 : 원자핵 한 개가 크기가 거의 같은 좀더 작은 원자핵 두 개로 분열하면서 에너지를 내놓는 핵반응

● 특징 : 우라늄은 석유, 석탄 등에 비해 에너지생산력이 수만배 높음.
             ▷  1Kg 목재(Firewood) :            1 kwh(kilowatt hour) 전략생산
             ▷  1Kg 석탄(Coal) :                  3 kwh(kilowatt hour) 전략생산
             ▷  1Kg 석유(Oil) :                     4 kwh(kilowatt hour) 전략생산
             ▷  1Kg 우라늄(Uranium) : 50,000 kwh(kilowatt hour) 전략생산


※ cf.1> 우라늄광
 우라늄을 많이 함유한 광석을 통틀어 이르는 말. (섬우라늄석, 인회우라늄석, 카르노석 등)











※ cf.2> YellowCake  
우라늄 광석 가공 과정의 중간에 생성 (대강 정련한 우라늄 광석)











※ cf.3> 농축우라늄
천연 우라늄보다 우라늄 235의 함유율을 인위적으로 높인 우라늄.
핵폭탄에는 93% 이상, 일반 동력용 원자로에는 3~4%의 것을 사용.











※ The Nuclear Fuel Cycle
핵에너지사이클 관련해서 英 BBC에서 좋은 설명자료를 만들어놓아서 소개 및 링크겁니다.
 ↓아래 링크 들어가면 아래그림이 나오는데, 각각의 과정마다 클릭하면 자세한 설명이 나옵니다.
http://news.bbc.co.uk/2/shared/spl/hi/sci_nat/05/nuclear_fuel/html/mining.stm









2. 우라늄이 '최근' 관심받는 이유는?
=>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일단 최근은 Green 트렌드, Green버블이 가장 큰 요인일 것 같습니다.

(1) Green트렌드
원자력은 탄소배출을 자제하자는 내용의 교토의정서, 발리로드맵 등 지구온난화대책의 일환으로 얘기되죠.
석유,석탄 등 화석에너지처럼 탄소배출을 하지 않고, 소량으로 엄청난 에너지를 생산해낼수 있어서 '일단은' 친환경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핵폐기물 등에 대한 문제는 일단 그린,지구온난화 트렌드와는 무관하니까요. 그리고 원자력이 깨끗, 안전하다는 주장도 상당하고요.)
※ '교토의정서', '발리로드맵'에 대해서는 나중 따로 정리해보겠습니다. 기다려주세요~
그리고 원자력이 최종적인 대안이 될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청정에너지시대로의 전환에서 중간계투역할 정도는 할 수 있지 않을까란 기대도 있습니다.


(2) 화석(특히 석유)에너지 의존에 대한 고민
석유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對중동의존도가 높아지니, 이에 대한 다변화에 대한 고민을 하는거죠. 작년 유가가 치솟을 때, 다시금 경각심을 일으킨 부분도 있습니다. (물론 이부분도 피크오일처럼, 피크우라늄이란 이슈도 있습니다. 그리고 역시 대부분의 국가가 우라늄을 수입해야하니까 수입국이 중동에서 호주, 캐나다 등으로 바뀌는 정도죠.)
※ 'Peak우라늄','Peak뉴클리어'에 대해서도 조만간 따로 정리해서 올려보겠습니다.



3. 우라늄 가격추이
=> 10년前보다야 올랐지만, 2007년 대비해서는 상당히 많이 떨어져있습니다. 이렇게 떨어진 상황에서 굳이 우라늄에 대해 말씀드리는건 지금 투자하라는게 아니라, 미리 우라늄에 대해 공부,연구해서 각자 판단하기에 적합한 타이밍을 찾자는거죠.



Price of Uranium





 
 
* 앞서 말씀드린대로 우라늄(Uranium)에 관한 포스트를 계속 올리겠습니다. 많은 의견 부탁드려요~   몽키머니블로그 : http://monkeymoney.tistory.com/  

[블로그 관련글]

  • 태그 Uranium235, etf, 뉴클리어, 원자재, 농축우라늄, 원자력발전소, commodity, nuclear, Atom, Uranium, 상품, 수소폭탄, 원자력, Uranium238, 우라늄, 원자폭탄
  • 신고신고

Posted by kevino
,